개발행위허가 없이 개발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허가 안 받고 그냥 하면 안 되나요?”
많이들 묻습니다.
눈에 띄지 않게 조용히 하면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시기도 하고요.
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개발행위허가 없이 땅을 손대면?
과태료는 기본, 공사 중지, 원상복구 명령까지 따라옵니다.
이번 글에서는 허가 없이 개발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5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무허가 개발 = 불법 개발, 처벌 대상입니다
개발행위허가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절차입니다.
허가 없이 땅을 깎거나 메우거나 건축을 하면 불법 개발로 간주됩니다.
📌 무허가 개발 시:
- 최대 5천만 원 이하의 이행강제금
- 공사 중지 명령
- 원상복구 명령
- 형사 고발될 수 있습니다.
👉 특히 농지나 임야에 무단으로 건축하거나 공사를 하면 더 강력한 제재를 받을 수 있어요.
2. 공사하다 적발되면 ‘전면 중지’ + ‘복구 명령’
“이만큼 해놨는데 이제 허가받으면 안 돼요?”
🚫 불가능합니다.
공사를 하다가 적발되면 즉시 공사 중지 명령이 내려지고,
기존에 진행한 부분을 원상태로 복구하라는 명령이 따라옵니다.
- 철거 비용은 전적으로 본인 부담
- 복구하지 않으면 추가 이행강제금 발생
- 장기 미복구 시 법적 분쟁으로 비화
👉 원상복구 비용이 더 많이 드는 경우도 있어
처음부터 허가를 받고 진행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3. 향후 건축허가나 매매 시 큰 불이익
무허가 개발 이력은 지자체에 기록으로 남고,
향후 건축 허가나 토지 매매 시 크게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 건축 허가 반려
- 등기 지연 또는 불가
- 매수인 측에서 매입 꺼림
- 실거래 신고 시 문제 발생
특히 법인이 토지를 취득한 경우,
무허가 개발 사실이 드러나면 감가상각 문제나 법인세 신고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4. 농지·임야의 경우, 다른 법 위반으로 연결되기 쉽다
농지를 무단으로 전용하거나,
산지를 허가 없이 훼손할 경우 「농지법」, 「산지관리법」 위반으로 이중 처벌됩니다.
- 농지전용 미이행 시 원상회복 명령 + 과태료
- 산지 무단 훼손 시 벌금 + 형사처벌 가능
👉 이런 사안은 허가 없이 한 사실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원상 회복 가능한지도 불투명해진다는 점에서 더 큰 문제입니다.
5. 단속이 점점 강화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시골이나 외곽 지역에서 조용히 하면 단속이 느슨했지만,
지금은 드론, 항공사진, 위성지도 등으로 정밀 감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 특히 개발제한구역, 농지, 임야, 하천부지 등은
사전 허가 없이 움직였다가는 거의 100% 적발된다고 보면 됩니다.
결국, "몰랐다"는 건 변명이 되지 않습니다
개발행위허가는 단순한 행정절차가 아니라
내 토지를 안전하게, 법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우리 땅, 허가가 필요한 개발일까?
- 진입로만 낼 건데 허가 받아야 할까?
- 농막, 창고 설치에도 허가가 필요할까?
- 이전에 무단 개발된 흔적이 있는데 괜찮을까?
애매하면, 지금 바로 확인하셔야 합니다!
전문가에게 맡기시면:
- 허가 대상 여부 사전 판단
- 필요시 구청 협의 및 서류 대행
- 위법 요소 발견 시 사후 조치까지 안내
무료 1:1 상담 가능하니 언제든 편하게 연락 주세요 😊
다음 편에서는
📌 “개발행위허가 이후 어떤 절차가 더 필요한가?”
건축허가, 준공 등 실무 흐름을 알려드릴게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부탁드립니다!
문의는 비밀댓글 또는 문자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